지난 정부가 발표 했듯이 오늘 18일부터 20일까지 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입주 모집을 시작했습니다.
현재 전세 대란으로 인해 무주택자들에게 좋은 기회가 아닐 수 없는데요.
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자격 조건/신청 방법에 대해 POTIN만 집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LH 전세형 공공임대주택란?
1월 18~20일까지 수도권 약 4500가구와 지방 9700가구, 총 1만 4천여호 입주자를 모집하는 전세형 공공임대주택는 시중 전세의 80% 이하 임대료를 내세워 기본 거주 기간 4년, 입주 대기자가 없을 경우 최대 6년까지 거주가 가능합니다.
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자격 조건
특히, 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자격 조건에서 눈여결 볼 사항은 바로 '소득/자산 조건 없이 무주택 구성원이라면 누구나' 신청이 가능하다는 것인데요. 자격 조건이 까다로운 행복주택이나 국민임대 주택와 비교 했을 때 큰 메리트라고 생각됩니다.
다만, 누구나 지원 할 수 있지만 소득 기준에 따라 순위에 차등을 준다고 합니다.
-
1순위: 생계/의료 수급자
-
2순위: 소득 50% 이하 (장애인 일 경우 70%이하)
-
3순위: 소득100% 이하
-
4순위: 소득100% 초과
순위에 따라 시세 기준에도 차이가 있는데 1~3순위는 70~75%, 4순위는 시세의 80% 이하입니다.
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신청 방법
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신청을 위해 분양/임대 공고문에 접속해야하는데요. 접속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.
1. LH 한국토지주택공사
첫번째는 LH 한국토지주택공사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인데요.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텐데요. 우측에 2/8 페이지를 설정하면 LH 주택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청약센터 안내 페이지가 뜹니다.
LH 한국토지주택공사 메인 홈페이지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.
2. LH 청약센터
두번째 방법은 LH청약센터 페이지를 이용하는것인데요. 이 방법은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공고안내문으로 'LH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청약접수'가 뜹니다. 하지만 실수로 닫기 버튼을 클릭하셨다면 위에 방법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.
LH청약센터 메인 홈페이지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.
apply.lh.or.kr/LH/index.html#MN::CLCC_MN_0010:
분양/임대 공고문 화면에 접속하셨다면 본인이 원하는 지역을 선택 후 청약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.
다만, 청약 신청 시 '공동 인증서'가 필요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그럼 LH 전세형 공공임대주택 자격/신청 방법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'자산 관리 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신청 방법, 기간 총정리 (0) | 2021.01.28 |
---|---|
2021 국민연금 가입연령 총 요약 정리 (0) | 2021.01.24 |
kt 포인트 현금화/사용처/사용 방법 요약 정리 (2) | 2020.10.24 |
KPMEX에 대해 알아봐요.(feat.반품/취소/환불) (0) | 2020.10.12 |
꿈자람카드 잔액조회 및 가맹점, 간편 정리 (0) | 2020.08.17 |
댓글